SEARCH : 분류 전체보기(53)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53) TAGS : 분류 전체보기(53) ARCHIVE : 분류 전체보기(53) 티끌모아 태산 뜻 2020. 7. 1. 각종매체나 사람들이 툭툭 던지는 말중 어디서 들어본거 같은 이말.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이말은 무슨뜻이며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 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티끌모아 태산 뜻과 사용 티끌모아 태산의 뜻은 티끌모아 태산의 뜻은 티끌같이 작은것들이 모여 큰 태산처럼 쌓힌다는 뜻으로 아껴서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속담입니다. 이 티끌모아 태산은 한국어 속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0원이 모여 100원이 되고 100원이 모여 만원이 된다 라는 이말에 어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티끌모아 태산은 주로 사용될때는 아끼다보면 언젠가 태산처럼 많이 많이 모일꺼라 할때 사용되며 옛 우리사람들에 아끼는 습관을 볼 수 있는 속담입니다. 이상 티끌모아 태산에 뜻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돼지목에 진주목걸이 뜻은 2020. 7. 1. 티비나 책이나 사람들이 말을 할때 가끔씩 어디서 한번은 들어본거 같은 이말 돼지목에 진주목걸이 이말에 뜻은 무엇이고 무슨말인지 돼지목에 진주목걸이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돼지목에 진주목걸이 뜻 돼지목에 진주목걸이 뜻은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말같지만 사실 일본에서 시작하였으며 일본에서 종종 사용되는 말입니다. 돼지목에 진주목걸이에 뜻은 돼지 목에 진주를 장식한거 처럼 아무 쓸모가 없는거 같다 라는 뜻이죠. 일종에 비유라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하지만 이 돼지목에 진주목걸이는 쓰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예시를 들자면 ` 영식아 니 명품지갑은 진짜 돼지목에 진주목걸이다 ` 라는 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상 돼지목에 진주목걸에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내로남불 뜻은 2020. 6. 30. 티비나 각종매체에서 나오는 내로남불이라는 이말은 무슨뜻이며 내로남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로남불 뜻 알아보기 내로남불 뜻은 내로남불은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이란 뜻이며 내로남불이 속담으로 알고 계신분들이 있는데 신조어 입니다. 내 내가하면 로 로맨스 남 남의하면 불 불륜 줄임말 입니다. 그리고 굳이 내로남불은 불륜에 쓰이는 단어가 아니라 내가하면 좋은거 남의 하면 안좋은거 처럼 입장 바꿔 생각해보라고 할때 쓰이기도 합니다. 내로남불 현재 내로남불은 신조어 이다보니 흔히 인터넷 뉴스댓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남이랑 비교할때도 쓰이고 이 내로남불에 단어가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을 놀릴때도 많이 쓰입니다. 흔히 꼰대를 비틀어 말할때 사용하며 내가하면 조언이고 남의하면 꼰대라고 한다. 이상..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뜻 2020. 6. 29. 티비나 각종 매체에서 나오는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말에 뜻을 뭘까요? 오늘은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에 대해 뜻과 해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뜻 해석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뜻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에 뜻을 보자면 이 얘기는 이솝우화에서 나온 말이며 이솝우화에서는 모두가 고양이를 어떡하여 피해야 되나 의논을 했는데 고양이목에 방울을 달자고 얘기가 나왔지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 얘기는 얘기하는것은 쉽지만 이루어지기는 어려워 말은 쉽고 행동은 어렵다라는 뜻이다. 그러니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는 말은 쉬우며 행동하는것은 어렵다라고 할 수있다. 해석을 하면 말은 생각없이 얘기하지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 등잔밑이 어둡다 뜻 해석 2020. 6. 28. 책을 읽거나 티비 각종매체에서 나오는 이 말 등잔밑이 어둡다. 이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등잔밑이 어둡다의 해석과 뜻풀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등잔밑이 어둡다 해석 뜻 등잔밑이 어둡다 뜻은 등잔밑이 어둡다는 한국 속담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뜻은 등잔을 방을 환히 밝혀 주위를 쉽게 볼 수 있지만 등잔밑은 어두워 그림자로 인해 보기 힘들다. 그래서 가까이 있는것을 멀리까지 보면서 못찾는다고 합니다. 해석을 하자면 코앞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멀리까지 찾아가며 몰랐던 곳에 있을때 이말을 쓴다 생각 하시면 됩니다. 이상 등잔밑이 어둡다의 뜻과 해석을 해보았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 뜻 해석 2020. 6. 27. 주위 사람들이나 티비에서 종종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 라는 말을 남기는데 이말은 무슨뜻이 있는 걸까요? 오늘은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의 말에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 뜻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 뜻은? 대한민국의 속담에는 도덕을 상징하는 이런 속담들이 많습니다. 이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는 도덕적을 표현하는데 내가 말이나 행동이 친절하고 좋게 말해야 오는말도 친절하고 좋다는 말입니다. 이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의 속담 얘기를 좀 더 파보면 말이나 행동을 실수 할 경우 그대로 나에게 피해되는 말이 돌아올 수 있으니 말조심해야된다 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상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 뜻을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댓.. 개천에서 용난다 뜻 2020. 6. 26. 옛날어른들이나 교과서에서 한번씩 들어본 말 개천에서 용난다 이말은 무슨말이고 무슨뜻이 있을까요? 오늘은 개천에서 용난다의 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천에서 용난다 뜻 개천에서 용난다 뜻은? 개천에서 용난다 라는 뜻은 속담이며 이말의 뜻은 옛날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성공하는 사람들을 지칭할때 개천에서 용난다 라고 합니다. 개천같이 물고기, 송사리들만 사는곳에 용이 산다는 뜻인거죠. 흔히 우리는 개천에서 용난다의 말을 사법시험이나 수능만점등 열악한 환경에서 성공한 이들을 말할때 씁니다. 이상 개천에서 용난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뜻 2020. 6. 25. 우리는 살다보면 어른들이나 주위사람들이 앞으로 나갈때나 무엇가 사업을 할때 들려오는 말이 있죠.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이말은 무슨말이고 무슨 속담일까요? 오늘은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의 속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 뜻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 뜻은? 어릴때나 티비에서 종종 나오는 이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의 말은 무슨뜻일까요? 뜻은 이러합니다. 겉으로 보이는 돌다리는 튼튼하여 안심 할 수있지만. 완전히 튼튼하고 안전하지는 않다 그러니 매사에 조심하여 안전을 생각하며 다녀라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속담입니다. 옛날 속담에는 다 뼈가 있고 살이 있는거 같네요. 이상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라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뜻 2020. 6. 24. 옛날 티비나 주위 어른들께서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라는 말을 몇번 들어보셨을 겁니다. 혹은 처음 들어보시거나요. 오늘은 이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에 사자성어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뜻 보기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뜻은? 본론만 말하자면 고래처럼 큰동물이 싸울시 주위에 새우나 작은 생물들이 고래싸움에 중간에 껴있으면 피해를 봐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라는 말입니다. 그러니 전쟁이나 그룹에 싸움으로 주위 팀원들이나 사람들이 피해를 볼때 사용하는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고래싸움 새우등 터진다의 예시를 보자면 회사들간에 경쟁으로 피해를 보는 약자들이나 옛날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등에 껴있던 가야 같은 경우 등에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이상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뜻 2020. 6. 23. 어릴때 어른이 되서나 종종 듣는 소리가 있죠. ` 니버릇이 참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모르냐 ` 라며 누군가 나의 버릇을 지적을 할때 많이 듣는 이말은 무슨 뜻이고 무슨 말일까요? 오늘은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의 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뜻 알아보기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뜻은? 교육을 받는 시기 그러니 어릴때 많이 듣는 소리로 짝다리 짓기, 손톱 물기 등 안좋은 버릇들이 있는 이런 버릇들은 왠만하면 고치라는 소리를 많이 듣죠. 하지만 버릇같은 경우 늘 하던것을 하는 행위라 늘 하던 행위는 고치기가 어렵죠. 그래서 이말을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버릇을 안고치면 여든 까지 버릇 못고친다는 말을 하는겁니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여든? 나이를 드신분들을 같은 경우.. Previous 1 2 3 4 5 6 Next